“샌프란시스코는 단순한 이민의 시작점이 아니라, 독립운동과 한국인 공동체의 성장의 중심이었다. 초기 한인들이 겪었던 고난과 희망, 그리고 독립을 위한 헌신은 오늘날 미주 한인 사회의 기반이 되었다. 앞으로도 이 역사는 후손들에게 영감을 주며 계속될 것이다.”

샌프란시스코 초기 한국인의 이민사
- 미국으로 향한 첫 발걸음
2023년은 한국인의 미국 이민 100주년을 맞는 해이다. 하지만 그 역사는 1903년 하와이로 첫 공식 이민자들이 도착하기 전부터 시작되었다. 특히 샌프란시스코는 한국인의 이민 역사에서 독보적인 역할을 해왔으며, 단순한 정착지가 아니라 독립운동의 중심지로 기능했다.
- 한국인의 샌프란시스코 정착과 초기 활동
1883년 7월 16일: 조선 고종이 민영익을 단장으로 한 보빙사절단을 미국으로 파견하며, 조선과 미국 간의 공식적 교류가 시작되었다.
1900년 1월 15일: 하와이가 미국령이 되기 전, 양백인(31)과 김이유(34)가 미국 이민국 기록에 최초로 등재된 한국인 이민자가 되었다.
1903년 9월 23일: 샌프란시스코에서 한인 친목회가 설립되며, 초기 한인 사회의 기반이 마련되었다.
- 독립운동과 샌프란시스코
1905년 4월 26일: 공립협회 창립. 이후 11월 14일 공립신보를 발간하며, 한국인의 독립운동 소식을 전달하는 중요한 역할을 했다.
1906년 12월 16일: 상항한인감리교회 설립. 신앙뿐만 아니라 한인 커뮤니티의 중심지가 되었다.
1907년 3월 2일: 대동보국회 설립, 4월 26일 공립신보 활판인쇄 개시.
1908년 3월 23일: 장인환과 전명운 의사가 친일파 외교고문 스티븐스를 저격하는 사건 발생. 이 사건은 미주 한인 사회에 큰 영향을 미쳤다.
1909년 2월: 공립협회가 국민회로 확대 개편.
1910년 2월: 대한인국민회로 개편되며 조직이 강화됨.
- 한인 사회의 성장과 독립운동의 확산
1913년 5월 13일: 흥사단 창단. 안창호 선생을 중심으로 한 독립운동과 교육 활동이 이어짐.
1914년 6월 5일: 오클랜드 감리교회 설립.
1919년: 3.1운동의 영향으로 미주 한인들의 독립운동이 더욱 활발해짐.
1920년 7월 5일: 윌로우스 비행사양성소 설립. 이는 독립운동을 위한 조종사 양성소로, 한국 독립군 양성을 위한 중요한 역할을 했다.
1938년 4월 17일: 대한인국민회가 샌프란시스코에서 LA로 이전하며, 중심지가 옮겨감.
1945년 4월 25일: 샌프란시스코 국제회의가 열리며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이승만을 파견하여 한국 독립을 위한 외교전을 펼침.
시기 | 사건과 활동 | 주요 인물과 단체 | 장소와 시설 | 한국과 세계의 주요 역사 | |
연도 | 월일 | ||||
1882 | 5월22일 | 한미조약 체결(1883년 비준) | |||
1883 | 7월 16일 | 조선의 왕 고종이 민영익을 단장으로 홍영식, 서광범, 유길준, 변수 등 보빙사절단을 미국으로 파견 | 민병익 홍영식 서광범 유길준 변수 | San Francisco Palace Hotel, Union Square | 유길준은 미국에 남아 매사추세츠에서 공부하고 ‘서유견문록’을 저술 1885 갑신정변의 주역 서재필 서광범 박영효 정치 망명객으로 도미 |
1887 | 초대 주미공사 박정양 부임(샌프란시스코 경유) | ||||
1888 | 최초의 정식 유학생 윤치호 도미 | ||||
1890 | 주미공사관에 부임한 이채연 서리공사의 아들이 탄생 (미주에서 출생한 첫 한인) | ||||
1898 | 1898. 5. 11 인삼을 팔기 위해 한인 호놀룰루에 도착 | ||||
1900 | 1월 15일 | 하와이가 미국령이 되기 전 양백인(31)과 김이유(34) 두 사람이 최초 한인입국자로 미 이민국에 기록 | 양백인 김이유 인삼장수로 추정 | 1900년 6월 14일 하와이가 미국령이 됨 | |
1901 | 1월9일 | 1첫 번째 한인 이민자 피터유가 홍콩 마루라는 일본 배를 타고 하와이 도착 | |||
1902 | 하와이 사탕수수 재배자 데쉴러가 노동자모집을 위해 한국 방문 대한제국정부에서 이민문제를 전담할 수민원을 설립 | ||||
1903 | 1월13일 | 첫 한인 이민자 101명 호놀룰루 도착. | |||
9월 23일 | 상항 한인 친목회설립 샌프란시스코 동포 9인 도산 안창호 회장 워싱톤 St. 소재 중국인 소유 건물 지하실 사용. 당시 한인 총수는 약 25명 | 안창호 | |||
1905 | 2월6일 | 박용만 샌프란시스코 도착 | 박용만 | ||
1905 | 4월 26일 | 공립협회 창립 (1905.11.14회 개관) 공립신보 발간 | 안창호 | 938 Pacific Ave, S.F | 태프트 가쓰라 밀약- 루즈벨트 행정부의 육군장관 태프트와 일본의 가쓰라 타로 일본 정부대표가 만나 일본이 미국의 필리핀 지배를 승인하는 대신 미국은 일본의 한국 지배를 승인한다는 조약을 맺었다. (루즈벨트의 사유문서에서 1924년에 발견) 을사늑약 1905년 11월17일 마지막 이민선 하와이에 도착한 후 한국인 이민 금지됨 1903년 이래 총 65척의 배로 약 2년간 7226명 이민 일본은 한국과 5조약을 체결하고 한국의 외교권을 완전히 박탈 이민 관련 수민원과 개발회사도 폐지 |
1905 | 12월 5일 | 만추리아 선편으로 호놀룰루에서 한인 8명 샌프란시스코 도착 | |||
1906 | 1월9일 ~4월12 | 1. 9 하와이에서 미주 본토로 이주 시작알라메다 선편에 한인 5인 호놀룰루로부터 샌프란시스코 도착 1. 12 시베리아 선편에 한인 4인 호놀룰루로부터 샌프란시스코 도착 3. 29 만추리아 선편으로 한인 22인 호놀룰루로부터 샌프란시스코 도착 4. 12 소노마 선편으로 한인 19인 호놀룰루로부터 샌프란시스코 도착 | 4월 18일 샌프란시스코 대지진 본국 매일신보에서 $592.23의 구호금 도착. 본국의 임금으로부터 온 구의금 $1900이 한국인에게 나누어짐. 구호금으로 공립협회를 가주 오클랜드로 옮김 | ||
7월 | 양주삼 목사 오클랜드로 도착 상항한인 감리교회 시무 중국인, 일본인, 한인의 자녀들이 샌프란시스코 공립학교에 다니는 것을 금지 | ||||
12월 16일 | 상항한인감리교회 설립 샌프란시스코 한인들이 만든 한인 전도회가 후에 상항감리교회가 됨 | 상항교회 | 938 Pacific Ave, S.F | ||
1907 | 2월20일 | Gentleman’s Agreement(신사협정)-미국으로 이주하기를 희망하는 일본인에게 더 이상 여권을 발급하지 않기로 함 일인이나 한인이나 하와이로 이민 온 사람들이 본토에 들어갈 수 없게 됨. | |||
1907 | 3월 2일 | 대동보국회 설립 | 808 Webster,St | 고종강제퇴위, 순종즉위 국채보상운동 | |
4월 26일 | 공립신보 활판인쇄 | 177 East 12th St, Okland 416 10th St, Okland | |||
1908 | 3월 23일 | 장인환 전명운 의사 의거 | 장인환 전명운 | ||
5월23일 | 샌프란시스코에서 한국부인회 조직: 미스 레익 집에서 미주 최초의 ‘한국부인회’ 창립 회장 김마리사 서기 장경 부인 발기인은 이민식, 신윤호, 문경호, 장홍범, 박창은씨의 부인 | ||||
6월 17일 | 공립회 회원 두 사람이 중가주 Hanford에 경찰소를 설립 상항 연합감리교회에서 Great Way(대도) 발간 | ||||
10월21일 | 샌프란시스코 한인 남감리교회 월간 대동보 창간(주필 양주삼 목사) | ||||
1909 | 2월 | 공립협회가 국민회로 확대개변 샌프란시스코에서 초기 재미한인 통일기관으로 국민회 창립. 후에 대동보국회가 합쳐져 대한인국민회가 되었다. 국민회 총 회관은 1909년-1936년까지 샌프란시스코에 있다가 1937년 로스앤젤레스로 이전 | 392 Austin Ave, S.F 2928 Sacramento St, S.F | 1909.10.26. 안중근 의사 의거 | |
5월5일 | 샌프란시스코 국민회관을 사무실로 하고 태동실업주식회사 조직 | ||||
1910 | 9월 4일 10월 1일 | 상항교회 이전 (중간에 국민회에서 예배) 샌프란시스코 국민회관 건물 구입. 신한민보와 함께 사용 1910-1918 대한인국민회의 청원으로 미국정부가 여권 없는 한국의 망명객들을 국민회 보증으로 입국시켜주는 특별법 제정. 이 특별법으로 입국한 한인 541명 최초의 사진신부 최사라 하와이 도착 (이내수와 결혼) | 상항 교회 | 1762 O’Farrell St, S.F 232 Perry St. SF | 1910.8.29 경술국치 |
1913 | 2월 | 대한인국민회 북미지방총회장 이대위 피선 | 대한인국민회 | 232 Perry St, SF | |
5월 13일 | 흥사단 창단 | 흥사단 | 1914 Lyon St, SF | 캘리포니아 주법 통과 “The Alien land Act” : 캘리포니아에서 외국인은 농장지의 땅을 사거나 3년 이상 땅을 빌릴 수 없다. 중국인과 일본인은 세를 얻을 수도 없어 임시 노무자 캠프를 설치하고 일했다. | |
1914 | 6월 5일 | 오클랜드감리교회 설립 | 오클랜드 감리교회 | 1053 Oak St, S.F | |
12월 24일 | 대한인국민회와 상항교회 공동입주 | 문원칠 조성학 | 1053 Oak St, S.F | ||
1916 | 3월10일 | 상해로부터 사진결혼 9명 ‘신도학생’이라고 불리던 유학생 34명 샌프란시스코 도착 | |||
1917 | 1월20일 | 흥사단에 의해 북미실업주식회사 설립 | |||
캘리포니아 맨티카와 스탁톤 양 지방 한인 무사탕농사 3천9백 에이커 지음 캘리포니아 한인 벼농사 점점 확장, 김종림 2천 85에이커 쌀농사, 백미대왕으로 부름 | |||||
1918 1919 | 샌프란시스코 대한인국민회 중앙총회에서 김호를 특파원으로 각 지방에 보내어 독립 의연금 모집. 김호는 63일간 63개 도시를 순방하고 1만 달러를 모금하였다. | 1.8 윌슨대통령의 민족자결주의 제창 1919 고종황제 승하 3.1운동/임시정부 수립 | |||
1920 | 3월 1일 | 중가주 다뉴바 제1회 3.1절 기념식 | 1920 김좌진장군 청산리대첩 | ||
1920 | 7월 5일 | 윌로우스 비행사양성소 설립 | 노백린 | ||
12월 말 | 미국 인구조사에 미주대륙 한인인구 1천2백24명 집계 미국에서 난 외국인 자녀가 시민권이 있어도 그 이름으로 땅을 사지 못함 | ||||
1922 | 1월 | 대한인국민회 중앙총회 폐지 (하와이분리 21년) | |||
1924 | 5월`15일 | 5.15 ‘Oriental Exclusion Act’(동양인 배척법) 동양인 이민에 대한 차별법안 통 과로 동양인의 이민이 중단되었다. 유학생만 입국이 가능하였는데 학업을 필하면 즉시 귀국해야 했다. 동양인의 귀화도 금지되어 시민권을 받을 수 없었다 | |||
1926 | 1926 순종황제 승하 | ||||
1930 | 6월 2일 | 상항교회 신축 이전 | 1123 Powell St. (現 차이나타운내) | 1930 한국독립당 결성 1931 만주사변 | |
1932 | 이봉창의거 윤봉길 의거 | ||||
1937 1939 1941 | 4월17일 9월1일 12월 7일 | 대한인국민회 LA로 이전 | 9. 1 독일의 폴란드 공격으로 제2차 세계대전 발발 12.7: 일본 해군 폭격기 진주만 군항 공격 | ||
1942 | 2월 5월 | 2.15: 나성한인경위대 설립 사령관 김용성 5.30: 샌프란시스코와 오클랜드 한인들, 한인경위대 구성 | |||
1943 | 1월 8월 | 1.6: 한인 국방경비대 맹호부대 샌프란시스코 지대 편성 8. 29 캘리포니아 주 ‘한국국기의 날’ 선포 (나성 시청에서 한국국기 게양 식 거행) | |||
1944 | 12월 | 2차대전 당시 한인 195명 미군 입대 | |||
1945 | 4월 25일 | 샌프란시스코 국제회의(임시정부에서 이승만 파견) | 1945년 8월 15일 광복 | ||
1948 | 주한 영사관 설치 | ||||
1949 | 1월 | 이승만 대통령, 장면 초대 주미대사 임명 | |||
6월 | 주 상항영사관 개설(초대 영사 주영한) | ||||
1952 | 4월 12월24일 | 캘리포니아 고등법원 외국인에 대한 토지 배척법안 위헌 판결 집과 땅을 살 수 있게 되자 중가주 북가주에 수천 에이커에 달하는 벼농사 과수원 묘목원을 경영하는 교포기업들이 생기기 시작 외국인에 시민권 부여하기 시작 – (Oriental Exclusion Act 폐지) | |||
1953 | 5월2일 | 샌프란시스코에서 제 1회 한국의 날 제정되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