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송석준(1865-1907):흥사단

    송석준(1865-1907):흥사단

    Read in English 평북 의주 태생으로 그에 대한 공적은 당시 홍언이 남긴 글로 잘 알 수 있다. “동년 四月 十八日에 상항(샌프란시스코)에 대지진이 폭발하여 상항(샌프란시스코)지부가 화염에 들어갈 때에 공립회관을 또한 불 속에 묻고 겨우 문부 존안을 구하여 창황히 오클랜드로 건너가서 임시 사무소를 설치하고 속사판에 조난한 정형을 인쇄하여 각처에 소식을 통하니 하와이 오아후 에와 친목회에서 글을 보내어…

  • 백일규(1880-1962):한인 소년병 학교 설립

    백일규(1880-1962):한인 소년병 학교 설립

    Read in English 약산 백일규는 미국 유학을 목적으로 이민을 와 1905년 5월에 하와이로 들어와 이듬해 8월 샌프란시스코로 왔다. 1907년 3월 샌프란시스코에서 대동보국회 설립 시 발기인이었으며 1908년 3월 발생한 스티븐스 사건에 장인환, 전명운 두 의사 후원회 회장을 맡았었다. 1909년 7월에는 네브라스카에서 박용만과 함께 한인소년병학교를 설립하였다. 1918년 가주 대학에서 경제과를 마치고 문학사 학위를 받았다. 대동공보 주필이었던 그는…

  • 방사겸(1881-1955):독립운동과 사업, 그리고 평생의 기록을 남겼다.

    방사겸(1881-1955):독립운동과 사업, 그리고 평생의 기록을 남겼다.

    Read in English 방사겸(1881년 7월 25일~1955년 12월 8일)은 평양에서 태어나 1903년, 23세의 나이에 하와이로 이민을 떠났다. 사탕수수 농장에서의 고된 노동 속에서 그는 더 나은 미래를 꿈꾸었고, 결국 샌프란시스코로 이주하여 학업에 뜻을 두게 되었다. 그곳에서 안창호를 만나며 독립운동에 참여하게 되었고, 이후 평생을 독립운동과 사업에 헌신하며 기록을 남겼다. 독립운동의 길 1905년, 방사겸은 장경과 함께 대동교육회를 창립하고 한인들의…

  • 문양목(1869-1940):동학혁명 참가 후 미국으로 망명한 독립운동가

    문양목(1869-1940):동학혁명 참가 후 미국으로 망명한 독립운동가

    Read in English 동학혁명 당시 농민군으로 가담 문양목(1869.6.7 ~ 1940.12.25)은 충청남도 서산 출신으로, 일찍이 반봉건·반외세의 의식을 가진 지식인이었다. 1894년 동학혁명이 발발하자 25세의 나이에 농민군에 가담하여 활발히 활동했다. 그러나 혁명이 실패하자 체포될 위기에 처했으며, 구사일생으로 탈출하여 망명길에 올랐다. 이후 1903년 인천에서 서당 교사로 활동하며 민족의식을 고취하던 그는, 점차 노골화되는 일본의 한국 침탈에 분노하며 국권 회복을 위한…

  • 노백린(1875-1926):윌로우스 비행학교

    노백린(1875-1926):윌로우스 비행학교

    Read in English 계원 노백린은 황해도 송화군 풍해면에서 태어났다. 어려서부터 기골이 장대하고 힘이 뛰어나 주위로부터 장군감이라고 칭송을 받았다. 고향에서 한문을 배우다가 상경하여 1895년 정부에서 뽑는 전국의 수재 120인에 뽑혀 관비유학생으로 일본으로 간다. 이갑, 유동열, 윤치성과 일본에서 경응의숙을 졸업했다. 그 해에 을미사변 아관파천 등의 정변이 일어나고 친일당 박영효가 일본으로 망명하자 정부에서는 유학생들에게도 역당의 누명을 씌워 학비를…

  • 김혜원(1886-1982):대한여자애국단 초대단장

    김혜원(1886-1982):대한여자애국단 초대단장

    Read in English 미주 최고의 여성운동가였던 김혜원은 가족과 함께 1905년 하와이로 노동이민을 했다. 한인으로는 최초로 미주에서 법학박사가 된 강영승의 누나다. 하와이에서는 재봉틀을 사서 바느질을 하고 어머니와 올케는 세탁 일을 하면서 생활하였다. 빨래를 빨아서 풀을 메기고 데려주면 셔츠 하나에 5센트를 받았다. 셋이 열심히 일하면 한 달에 50달러를 벌었는데 동생의 학비를 보내고 나면 근근이 살았다. 바느질을 하면서…

  • 김현구(1889-1967):주미 외교위원

    김현구(1889-1967):주미 외교위원

    Read in English 충북 옥천에서 출생해 양정학교와 보성중학에서 신학문을 익히고 계몽운동단체인 자강회 회원이 됐다. 유학으로 1909년 4월에 미국으로 와서 박용만의 군사학교인 헤이스팅 소년병학교에 입학하여 군사훈련을 받았다. 1918년 오하이오 콜럼버스 대학에서 정치와 철학을 공부하고 문학사학위를 받았다. 1919년 1월 북미 대한인국민회 임명을 받고 신한민보 주필로 일했다. 콜럼버스대학 시절에는 학생회에서 발행한 ‘소년한국(Young Korea)’ 을 책임졌다. 이 책은 주로…

  • 김종림(1884-1973):쌀의 왕으로 불린 큰손

    김종림(1884-1973):쌀의 왕으로 불린 큰손

    Read in English 김종림은 당시 ‘Rice King(쌀의 왕)’이라는 별명에 걸맞게 한인 중에 가장 많은 농토를 가지고 경작을 하여 큰돈을 벌었다. 그는 번 돈으로 한인 사회 도처에 필요한 곳은 물론 거액의 독립운동 자금을 기부하였고, 비행학교를 설립해 모든 재정을 뒷바라지한 통이 큰 사업가였다. 1916년 당시 윌로우스에서 4천3백 에이커에 벼농사를 지었는데 연 수입규모가 백만 달러가 넘었으며 당시 캐딜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