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 초기 이민 한국인들의 음악과 창작활동

    미국 초기 이민 한국인들의 음악과 창작활동

    Read in English ◈ 1914년 샌프란시스코 한인 학생 밴드 11명이 제 5회 국민회 기념식에서 연주하였다. ◈ 1936년 3월 26일 애국가의 탄생: 일본 동경에서 음악대학을 졸업하고 고향인 평양에서 고별 연주를 끝낸 안익태는 1930년 초 음악연구 차 미국에 당도하였다. 미국에서 첫 주일 예배를 상항감리교회에서 드리며 예배시간에 첼로 연주를 하여 교인들은 큰 감명을 받았다. 당시 고국을 그리던 사람들은…

  • 초기 미주 한국인의 영화와 연극 예술활동

    초기 미주 한국인의 영화와 연극 예술활동

    Read in English 본국과는 달리 미주사회의 한인들은 무제한의 표현의 자유를 누리고 있었다. 희곡이나 연극을 주도한 인사도 역시 신한민보의 핵심인 동해수부(홍언)이나 백일규였다. 이들은 한인사회의 연극을 주도하였으며 한인교회를 중심으로 많은 소규모 연극들이 공연되기도 했다. 연극을 지탱하는 두 요소는 긴장과 갈등이며 그 표현은 모방과 보여줌이다. 연극은 인간의 삶을 통해서 목격할 수 있는 이런 모든 요소들의 통합체라고 할 수…

  • 자유로 산 문학:초기 문학활동

    자유로 산 문학:초기 문학활동

    Read in English 초창기에 미주 한인은 망명, 도피 또는 유학으로 비교적 계획적이고 자발적으로 왔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이들은 일시적인 체류나 망명이 끝나면 언제든 돌아갈 것을 전제로 하고 살았다. 나라 없는 백성으로 나라의 독립을 바라는 그들은 문학의 모습이나 연극의 모습을 빌어 갖가지 천대와 멸시를 받고 생활이 어려운 가운데서도 글을 쓰고 연극을 했다. 조국과는 달리 표현의…

  • Early Korean-American Media and Its Legacy

    Early Korean-American Media and Its Legacy

    Read in Korean “Starting today, with the publication of this new newspaper on a new printing press, let us develop new knowledge and invigorate new ideas… May we restore our national sovereignty and enjoy the blessings of freedom ten million times over.”— The Korean News (Kongnip Sinbo), November 1905, 9th year of the Gwangmu Era…

  • 알아야 산다; 초기 미국의 한인 언론사

    알아야 산다; 초기 미국의 한인 언론사

    Read in English “오늘부터 새 활판에 새로 출간하는 새 신문을 보고 새 지식을 발달하며 새 사상을 활발하며 …… 우리 국권을 회복하고 자유의 복 누리기를 천만 축수하노라”-공립신보 광무9년 1905년 11월 발간- 초기 한인사회는 인구도 그리 많지 않고, 여러 가지 조건이 열악했음에도 언론, 출판의 활동이 두드러졌다. 별도의 언론사는 없었지만 여러 신문이나 잡지 발행에 단체나 기관에서 이를 재정적으로…

  • Early History of Korean Churches in America: “Faith is Life”

    Early History of Korean Churches in America: “Faith is Life”

    Read in Korean The Korean church in America began in 1903 with the first immigrants arriving in Hawaii. As Reverend Jones encouraged the migration, it was largely initiated by American missionaries in Korea who recommended the move to their congregants. In a sense, the church played a foundational role in starting Korean immigration. Most of…

  • 미주 초기 한인교회 역사: 믿어야 산다

    미주 초기 한인교회 역사: 믿어야 산다

    Read in English 미주 한인교회는 1903년 하와이에 온 첫 이민들에 의해 시작됐다. 죤스 목사의 권유처럼 하와이 이민 자체가 주한 미 선교사들이 자신이 담당한 교회 신도들에게 권유함으로 시작된 것이므로, 어떻게 보면 교회가 이민을 시작한 셈이었다. 하와이 초기 이민은 기독교가 성했던 평안도지방에서 많이 왔다. 도시에 살았지만 가난하고 소외당한 계층들은 서구 문명에 대한 동경심으로도 기독교를 쉽게 받아들이며 믿어야…

  • 초기 이민사회의 교육열: 배워야 산다2

    초기 이민사회의 교육열: 배워야 산다2

    Read in English 초기 한인의 교육사업 초기 한인의 교육 사업은 미국물정을 모르고 온 성인들을 가르치는 일과 2세들에게 우리의 말과 글, 문화를 교육하는 일이었다. 하와이에 초기 이민 온 한인들은 글을 모르는 사람들이 대부분이었다. 이들은 저녁과 토요일에는 한국어학교에 가서 한글을 익혔다. 특히 초기 이민 1세들을 무지에서 깨우는 계몽운동이 필요했다. 이런 의미에서 초기 이민과 더불어 신문발행이 시작된 것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