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가주의 주요 인물들: 김형순(Harry S. Kim 1886-1968)

    중가주의 주요 인물들: 김형순(Harry S. Kim 1886-1968)

    Read in English 1886년 경남 통영에서 태어나 1901년 배재학당을 졸업했다. 영어를 잘 하여 인천세관에서 첫 번째 한인 통역관으로 1년을 일하다 수민원 통역관 시험에 합격했다. 1903년에 첫 이민선의 통역으로 미국에 온 그는 사탕수수농장에서 통역관으로 11년간 하와이에 살았다. 초기에 통역관 5명중의 하나로 겨우 19살이던 당시 한 달에 75달러씩이나 되는 높은 임금을 받았다.다른 사람은 시간당 10센트를 받던 시절…

  • 중가주의 주요 인물들: 김 호(1884-1968)

    중가주의 주요 인물들: 김 호(1884-1968)

    Read in English 서울에서 태어난 한사 김호는 본명이 김정진이다. 1912년 중국으로 망명할 때 김호로 개명하여 국경을 통과하였다. 한성학교(경기고 전신 1회)에 다니며 신식교육을 받고 어머니를 따라 정동교회에 다녔다. 선교사들이 세운 배재, 이화, 영흥학교와 안창호가 평양에 세운 대성학교에서 신학문을 가르쳤다. 조국을 떠날 때까지 가르쳤던 대성학교 독립사상과 민족의식 고취를 목적으로 하여 일본국기 불게양(국기를 높이 달지 않는) 운동을 전개해…

  • 리들리 다뉴바 등 중가주의 한국인

    리들리 다뉴바 등 중가주의 한국인

    Read in English 하와이나 본국에서 미주 본토로 온 초기 이민들은 우선 샌프란시스코에 먼저 도착했다. 이곳을 중심으로 일터를 찾아 주로 캘리포니아에 인접한 다른 도시들로 다들 뿔뿔이 흩어져 나갔다. 캘리포니아에서는 주로 농사를 짓거나 과일을 따는 일을 하였다. 북가주에서는 벼농사와 무 농사 등을 지었고 중가주 남가주에서는 주로 과일 농사를 지었다. 이민초기 한인들이 주로 거주했거나 활동했던 캘리포니아의 도시들은 다음과…

  • Traces of Koreans in the San Francisco Streets

    Traces of Koreans in the San Francisco Streets

    Read in Korean Early immigrants and students from Korea in America watched with sorrow as their homeland fell under the rule of Japan, striving tirelessly to restore their country by any means necessary. However, the humiliating annexation of Korea by Japan occurred in 1910. Following this, independence movements within Korea faced severe repression, while active…

  • 한국인의 흔적이 남아 있는 샌프란시스코의 거리

    한국인의 흔적이 남아 있는 샌프란시스코의 거리

    Read in English 미주지역 초기 이민 또는 유학생들은 일제의 지배로 기울어 가는 조국의 운명을 안타깝게 지켜보면서 어떻게 해서든지 조국을 바로 세우기 위해 부단히 애썼다. 그러나 결국 경술년에 치욕스러운 한일합방이 일어났다. 이후 국내에서의 독립운동은 탄압을 받게 되고 언론과 행동이 자유로웠던 해외에서 활발히 독립운동이 전개됐다. 특히 미주지역은 조국과 엄청난 거리가 있는 곳이었지만, 사실상 해외 독립운동의 대부분을 뒷받침하고…

  • The Story of a Korean Who Lived Life to the Fullest in San Francisco

    The Story of a Korean Who Lived Life to the Fullest in San Francisco

    Read in Korean The reason we can write about the stories of our ancestors, who are no longer in this world, is all due to the records they left behind. Some individuals preserved newspapers from the very first issue, while others left behind autobiographies or photographs. Notably, figures like Sonia Sunwoo and Min Byung-yong recorded…

  • 최선을 다해 살아낸 한국인이 샌프란시스코에 남긴 이야기

    최선을 다해 살아낸 한국인이 샌프란시스코에 남긴 이야기

    Read in English 우리가 이 세상 사람이 아닌 선조들의 이야기를 쓸 수 있는 것은 모두 남겨진 기록을 통해서다. 어떤 분은 당시의 신문을 1호부터 모아 보존하였다가 남겨 두었고 어떤 분은 자서전을 어떤 분은 사진을 남겨 두었다. 특히 소니아 선우와 민병용 같은 분은 첫 이민이 살아 계시는 동안 인터뷰를 통해 그 분들의 삶을 기록으로 남겨놓아 훗날 사료로…

  • Choi Bong-yun (1914–2005): Founder of the Department of Political Science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Choi Bong-yun (1914–2005): Founder of the Department of Political Science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Read in Korean Professor Choi Bong-yun was born in 1914 in Uiju, North Pyongan Province. During his student years, he organized Bible schools and retreats, actively promoting literacy and fostering national spirit. After graduating from the Chosun University of Japan, he moved to the United States in 1938. He completed his master’s and doctoral stud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