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황사용(1881-1964):일생을 선교에 바치다

    황사용(1881-1964):일생을 선교에 바치다

    Read in English 1904년에 미국에 온 그는 일생을 선교 사업에 바쳤다. 1908년 아세아실업주식회사를 창립하여 한인의 실업을 장려하였다. 1909년 5월 멕시코에 이주한 동포들이 농장의 노예노동에서 풀려나는 때에 북미국민회 총회에서는 황사용과 방화 중 두 위원을 멕시코로 보내 실정을 알아보고 돕게 하였다. 5월 20일경 유카탄주의 프로그레소항에 도착하였는데 그것은 한인노동자들이 발을 들여놓은 이래 처음 가는 한인이었다. 처절한 노예의 삶…

  • 장경(? ~1918):미주 최초의 단체 상항친목회를 조직

    장경(? ~1918):미주 최초의 단체 상항친목회를 조직

    Read in English 1903년 샌프란시스코에서 안창호, 이대위와 함께 미주 한인단체의 효시인 친목회를 조직하고 상부상조를 목적으로 한인사회의 생활개선운동을 펼쳤다. 1905년 일제가 한국과 을사조약을 강제로 체결하자 해외 유학생의 양성, 서적의 출간, 신문의 간행을 목적으로 캘리포니아주 패사디나에 대동교육회를 조직하고 총무로 선임됐다. 1907년 3월 샌프란시스코에서 백일규, 문양목과 함께 대동교육회를 대동보국회로 개편하고 중앙총무가 된 그 해 7월 일제에 의해 강제…

  • 이대위(1878-1928):희생과 봉사의 삶을 살다

    이대위(1878-1928):희생과 봉사의 삶을 살다

    Read in English 평남 평양에서 출생하여 기독교 학교인 숭실중학교를 졸업하고 유학을 목적으로 1903년 미국으로 왔다. 1903년 샌프란시스코에서 안창호와 더불어 친목회를 조직하고 한인사회의 생활개선운동에 앞장섰다. 1905년에는 샌프란시스코에서 안창호와 미주 최초의 민족운동기관으로 항일운동과 동족사랑을 목적으로 설립한 공립협회를 조직하여 활동했다. 1906년 12월6일에는 상항한인감리교회를 창립하여 동포들의 구호사업과 교육 계몽운동, 직업알선 등의 일을 수행했다. 1908년에는 오레곤 주의 포틀랜드 아카데미를 졸업하고…

  • 이강(1878-1964):공립신보 주필

    이강(1878-1964):공립신보 주필

    Read in English 평남 황산에서 출생하여 7세 때부터 17세까지 한문을 배우고 기독교감리교회에 입교하였다. 1903년 미주개발공사에서 모집하는 이민에 응모하여 하와이로 가서 1년 영어를 배우고 미주 본토로 왔다. 안창호와는 고향에서 면식이 있었으나 미국으로 건너가 친숙한 사이가 되어 평생을 조국 광복과 교육에 바쳤다. 학교를 들어가려고 학비마련을 위해 아스파라거스, 합스 등을 재배하는 7개월 농장 일을 하고 백 달러를 벌었다.…

  • 송석준(1865-1907):흥사단

    송석준(1865-1907):흥사단

    Read in English 평북 의주 태생으로 그에 대한 공적은 당시 홍언이 남긴 글로 잘 알 수 있다. “동년 四月 十八日에 상항(샌프란시스코)에 대지진이 폭발하여 상항(샌프란시스코)지부가 화염에 들어갈 때에 공립회관을 또한 불 속에 묻고 겨우 문부 존안을 구하여 창황히 오클랜드로 건너가서 임시 사무소를 설치하고 속사판에 조난한 정형을 인쇄하여 각처에 소식을 통하니 하와이 오아후 에와 친목회에서 글을 보내어…

  • 김혜원(1886-1982):대한여자애국단 초대단장

    김혜원(1886-1982):대한여자애국단 초대단장

    Read in English 미주 최고의 여성운동가였던 김혜원은 가족과 함께 1905년 하와이로 노동이민을 했다. 한인으로는 최초로 미주에서 법학박사가 된 강영승의 누나다. 하와이에서는 재봉틀을 사서 바느질을 하고 어머니와 올케는 세탁 일을 하면서 생활하였다. 빨래를 빨아서 풀을 메기고 데려주면 셔츠 하나에 5센트를 받았다. 셋이 열심히 일하면 한 달에 50달러를 벌었는데 동생의 학비를 보내고 나면 근근이 살았다. 바느질을 하면서…

  • 김현구(1889-1967):주미 외교위원

    김현구(1889-1967):주미 외교위원

    Read in English 충북 옥천에서 출생해 양정학교와 보성중학에서 신학문을 익히고 계몽운동단체인 자강회 회원이 됐다. 유학으로 1909년 4월에 미국으로 와서 박용만의 군사학교인 헤이스팅 소년병학교에 입학하여 군사훈련을 받았다. 1918년 오하이오 콜럼버스 대학에서 정치와 철학을 공부하고 문학사학위를 받았다. 1919년 1월 북미 대한인국민회 임명을 받고 신한민보 주필로 일했다. 콜럼버스대학 시절에는 학생회에서 발행한 ‘소년한국(Young Korea)’ 을 책임졌다. 이 책은 주로…

  • 김(차)미리사(1880-1955):미주 최초의 여성단체 한국 부인회 회장

    김(차)미리사(1880-1955):미주 최초의 여성단체 한국 부인회 회장

    Read in English 어릴 적 아버지로부터 철저한 가정교육을 받고 자랐다. 19살에 딸 하나를 두고 과부가 되었으나 교회에 다니며 기독교 신앙을 가져 어려운 과정을 극복한다. 중국으로 유학을 하여 4년간 신학을 공부했다. 미국 샌프란시스코에 유학 왔으나 미주한인과 함께 공부를 접고, 샌프란시스코에서 1905년에서 1910년까지 활발한 국권회복을 위한 조국 독립과 한인사회 계몽운동에 몸 바쳤다. 김미리사는 당대에 보기 드문 인테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