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양주은(1879-1981):신한민보를 50년간 보관

    양주은(1879-1981):신한민보를 50년간 보관

    Read in English 1879년 5월25일 개성 인삼상인 가정에서 태어난 그는 첫 번째 이민 배에 올라 하와이에 왔다. 당시 배 삯과 식비 등을 합해 이민 오는데 드는 비용 100달러를 사탕수수밭 농장주가 미리 지불했는데, 일이 시작되면 매달 임금에서 제하여서 삼 년에 갚도록 했다. 양주은은 그 계약대로 삼 년간을 일한 후 1906년4월 샌프란시스코로 왔다. 대동보국회와 대한인국민회, 그리고 1940년…

  • 양주삼(1879-납북):최초의 한글 월간잡지 ‘대도’ 발행

    양주삼(1879-납북):최초의 한글 월간잡지 ‘대도’ 발행

    Read in English 양주삼은 샌프란시스코가 대지진을 만나 어려웠던 1906년에 샌프란시스코에 왔다. 그는 장차 나라와 백성을 위한 일을 하는데 뜻을 두고 공부를 위해 동부로 가던 길이었다. 그러나 그의 조국과 민족을 사랑하는 마음과 기독교적 신앙을 바탕으로 우러나는 봉사심은, 당장 한인들에게 필요한 구호 및 계몽의 일을 지나쳐 갈 수가 없었다. 그는 이것이 하나님의 부르심이라고 믿고 샌프란시스코에 정착키로 한다.…

  • 송종익(1887-1956):독립운동 자금 조달

    송종익(1887-1956):독립운동 자금 조달

    Read in English ‘고국을 떠나온 지 40여년 만에 조국의 땅을 밟았으나, 당시 해방 정국의 혼란으로 인해 별다른 활동을 보이지 못하고 8개월 만에 미국으로 돌아갔다’ 출처: 국가보훈처 공훈록  재판정에서의 후원, 후원경비 조달, 변호사 교섭 등을 담당하면서 미 언론 등에 일본의 침략야욕과 한국의 독립 필연성을 인식시켰다. 1913년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린 흥사단 발기대회에서 8도 대표 중 한 명으로 동…

  • 송석준(1865-1907):흥사단

    송석준(1865-1907):흥사단

    Read in English 평북 의주 태생으로 그에 대한 공적은 당시 홍언이 남긴 글로 잘 알 수 있다. “동년 四月 十八日에 상항(샌프란시스코)에 대지진이 폭발하여 상항(샌프란시스코)지부가 화염에 들어갈 때에 공립회관을 또한 불 속에 묻고 겨우 문부 존안을 구하여 창황히 오클랜드로 건너가서 임시 사무소를 설치하고 속사판에 조난한 정형을 인쇄하여 각처에 소식을 통하니 하와이 오아후 에와 친목회에서 글을 보내어…

  • 방사겸(1881-1955):독립운동과 사업, 그리고 평생의 기록을 남겼다.

    방사겸(1881-1955):독립운동과 사업, 그리고 평생의 기록을 남겼다.

    Read in English 방사겸(1881년 7월 25일~1955년 12월 8일)은 평양에서 태어나 1903년, 23세의 나이에 하와이로 이민을 떠났다. 사탕수수 농장에서의 고된 노동 속에서 그는 더 나은 미래를 꿈꾸었고, 결국 샌프란시스코로 이주하여 학업에 뜻을 두게 되었다. 그곳에서 안창호를 만나며 독립운동에 참여하게 되었고, 이후 평생을 독립운동과 사업에 헌신하며 기록을 남겼다. 독립운동의 길 1905년, 방사겸은 장경과 함께 대동교육회를 창립하고 한인들의…

  • 문양목(1869-1940):동학혁명 참가 후 미국으로 망명한 독립운동가

    문양목(1869-1940):동학혁명 참가 후 미국으로 망명한 독립운동가

    Read in English 동학혁명 당시 농민군으로 가담 문양목(1869.6.7 ~ 1940.12.25)은 충청남도 서산 출신으로, 일찍이 반봉건·반외세의 의식을 가진 지식인이었다. 1894년 동학혁명이 발발하자 25세의 나이에 농민군에 가담하여 활발히 활동했다. 그러나 혁명이 실패하자 체포될 위기에 처했으며, 구사일생으로 탈출하여 망명길에 올랐다. 이후 1903년 인천에서 서당 교사로 활동하며 민족의식을 고취하던 그는, 점차 노골화되는 일본의 한국 침탈에 분노하며 국권 회복을 위한…

  • 노백린(1875-1926):윌로우스 비행학교

    노백린(1875-1926):윌로우스 비행학교

    Read in English 계원 노백린은 황해도 송화군 풍해면에서 태어났다. 어려서부터 기골이 장대하고 힘이 뛰어나 주위로부터 장군감이라고 칭송을 받았다. 고향에서 한문을 배우다가 상경하여 1895년 정부에서 뽑는 전국의 수재 120인에 뽑혀 관비유학생으로 일본으로 간다. 이갑, 유동열, 윤치성과 일본에서 경응의숙을 졸업했다. 그 해에 을미사변 아관파천 등의 정변이 일어나고 친일당 박영효가 일본으로 망명하자 정부에서는 유학생들에게도 역당의 누명을 씌워 학비를…

  • 김혜원(1886-1982):대한여자애국단 초대단장

    김혜원(1886-1982):대한여자애국단 초대단장

    Read in English 미주 최고의 여성운동가였던 김혜원은 가족과 함께 1905년 하와이로 노동이민을 했다. 한인으로는 최초로 미주에서 법학박사가 된 강영승의 누나다. 하와이에서는 재봉틀을 사서 바느질을 하고 어머니와 올케는 세탁 일을 하면서 생활하였다. 빨래를 빨아서 풀을 메기고 데려주면 셔츠 하나에 5센트를 받았다. 셋이 열심히 일하면 한 달에 50달러를 벌었는데 동생의 학비를 보내고 나면 근근이 살았다. 바느질을 하면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