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초기 미주 한국인의 영화와 연극 예술활동
Read in English 본국과는 달리 미주사회의 한인들은 무제한의 표현의 자유를 누리고 있었다. 희곡이나 연극을 주도한 인사도 역시 신한민보의 핵심인 동해수부(홍언)이나 백일규였다. 이들은 한인사회의 연극을 주도하였으며 한인교회를 중심으로 많은 소규모 연극들이 공연되기도 했다. 연극을 지탱하는 두 요소는 긴장과 갈등이며 그 표현은 모방과 보여줌이다. 연극은 인간의 삶을 통해서 목격할 수 있는 이런 모든 요소들의 통합체라고 할 수…
-
자유로 산 문학:초기 문학활동
Read in English 초창기에 미주 한인은 망명, 도피 또는 유학으로 비교적 계획적이고 자발적으로 왔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이들은 일시적인 체류나 망명이 끝나면 언제든 돌아갈 것을 전제로 하고 살았다. 나라 없는 백성으로 나라의 독립을 바라는 그들은 문학의 모습이나 연극의 모습을 빌어 갖가지 천대와 멸시를 받고 생활이 어려운 가운데서도 글을 쓰고 연극을 했다. 조국과는 달리 표현의…
-
미주 초기 한인교회 역사: 믿어야 산다
Read in English 미주 한인교회는 1903년 하와이에 온 첫 이민들에 의해 시작됐다. 죤스 목사의 권유처럼 하와이 이민 자체가 주한 미 선교사들이 자신이 담당한 교회 신도들에게 권유함으로 시작된 것이므로, 어떻게 보면 교회가 이민을 시작한 셈이었다. 하와이 초기 이민은 기독교가 성했던 평안도지방에서 많이 왔다. 도시에 살았지만 가난하고 소외당한 계층들은 서구 문명에 대한 동경심으로도 기독교를 쉽게 받아들이며 믿어야…
-
The Early Korean Immigrant Society in America as Seen Through Newspaper Articles: This Is How They Lived
Read in Korean Korean Population Census and Immigration Data from the Shinhan Minbo and U.S. Senate Submissions by Immigration CommissionersEarly 1900s: 165 men and 3 women, totaling 168 individuals.1903 to 1924: 6,725 men and 675 women, totaling 7,400 immigrants.1905: Labor immigration was banned due to Japanese interference.1906 to 1910: 182 men and 40 women, total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