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Read in English “도라가세 도라가세 재미동포 도라가세 /자유종을 크게치고 독립기를 높이들어/유진무퇴 하올적에 귀국하세 귀국하세” 신한민보에 나타난 한인인구 조사 및 이민 커미셔너 미 상원…
-
Read in English 꿈과 현실의 만남: 샌프란시스코의 역사와 골드러쉬 오늘날 찬란한 상징으로 빛나는 샌프란시스코는 한때 소박한 항구 마을에 불과했습니다. 하지만 1848년 캘리포니아에서 금이…
-
Read in Korean Unlike in their homeland, Korean Americans in the United States enjoyed unlimited freedom of expression. Prominent figures like Dong Hae…
-
Read in Korean In the early stages, Korean immigrants in the United States were relatively deliberate and voluntary in their migration, coming for…
-
Read in English ◈ 1914년 샌프란시스코 한인 학생 밴드 11명이 제 5회 국민회 기념식에서 연주하였다. ◈ 1936년 3월 26일 애국가의 탄생: 일본 동경에서…
-
Read in English 본국과는 달리 미주사회의 한인들은 무제한의 표현의 자유를 누리고 있었다. 희곡이나 연극을 주도한 인사도 역시 신한민보의 핵심인 동해수부(홍언)이나 백일규였다. 이들은 한인사회의…
-
Read in English 초창기에 미주 한인은 망명, 도피 또는 유학으로 비교적 계획적이고 자발적으로 왔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이들은 일시적인 체류나 망명이 끝나면…
-
Read in English “오늘부터 새 활판에 새로 출간하는 새 신문을 보고 새 지식을 발달하며 새 사상을 활발하며 …… 우리 국권을 회복하고 자유의 복…
-
Read in Korean The Korean church in America began in 1903 with the first immigrants arriving in Hawaii. As Reverend Jones encouraged th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