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Read in English “도라가세 도라가세 재미동포 도라가세 /자유종을 크게치고 독립기를 높이들어/유진무퇴 하올적에 귀국하세 귀국하세” 신한민보에 나타난 한인인구 조사 및 이민 커미셔너 미 상원…
-
Read in English 꿈과 현실의 만남: 샌프란시스코의 역사와 골드러쉬 오늘날 찬란한 상징으로 빛나는 샌프란시스코는 한때 소박한 항구 마을에 불과했습니다. 하지만 1848년 캘리포니아에서 금이…
-
Read in Koran Early Life and Career: Dr. Jang In-hwan was born on March 10, 1876, in Sunchon, Pyeonganbuk-do. He lost his mother…
-
Read in English 장인환 의사(1876-1930): 1876년 3월 10일 평북 선천에서 출생한 의사는 어머니는 6살에 아버지는 16살 때 일찍이 양친을 여의었다. 소학교를 마친 뒤…
-
전명운 의사(1884-1947) 전명운은 1884년 평양에서 태어났다. 한성학원(경기고 전신)에서 수학하던 그는 일제의 탄압이 날로 심해지자 비밀결사를 조직하고 독립운동을 하였다. 그러다 일본 헌병에 쫓기어 1905년…
-
Read in English이전 글: 세발의 총성이전 글: 세발의 총성 이후 전명운의 진술 입원중인 전명운은 자신을 만나러온 기자들에게 스티븐스는 한국에 대해 거짓말을 하러 온…
-
Read in English 세발의 총성 이야기 읽기 당시 현장에 있던 이들은 대부분 백인이었다. 이들은 장인환과 전명운에 대해 “두 놈을 죽여 버려라”, “목을 매…
-
Read in English 1908년 3월 23일 샌프란시스코 페리항에서 장인환, 전명운 두 의사가 스티븐스를 처단한 사건은 한민족의 자유정신과 항일 의식을 만천하에 떨치는 계기가 됐다.…
-
Read in English 나라가 살아야 우리가 산다미주의 한인사회는 자치적으로 조국의 독립운동을 목표로 1909년 2월 강력한 조직체 대한인국민회를 조직하고 독립운동을 추진해 나갔다. 러일전쟁 기간…
-
Read in English 레드우드시의 항공학교는 샌프란시스코에서 20마일쯤 남쪽에 위치한 레드우드 시에 있던 항공학교다. 1916년 크리스토 펄슨이 시작한 비행학교로 그는 학교를 시작한 지 4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