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g: 공립신보

  • 이강(1878-1964):공립신보 주필

    이강(1878-1964):공립신보 주필

    Read in English 평남 황산에서 출생하여 7세 때부터 17세까지 한문을 배우고 기독교감리교회에 입교하였다. 1903년 미주개발공사에서 모집하는 이민에 응모하여 하와이로 가서 1년 영어를 배우고 미주 본토로 왔다. 안창호와는 고향에서 면식이 있었으나 미국으로 건너가 친숙한 사이가 되어 평생을 조국 광복과 교육에 바쳤다. 학교를 들어가려고 학비마련을 위해 아스파라거스, 합스 등을 재배하는 7개월 농장 일을 하고 백 달러를 벌었다.…

  • 샌프란시스코 독립운동사

    샌프란시스코 독립운동사

    “샌프란시스코는 단순한 이민의 시작점이 아니라, 독립운동과 한국인 공동체의 성장의 중심이었다. 초기 한인들이 겪었던 고난과 희망, 그리고 독립을 위한 헌신은 오늘날 미주 한인 사회의 기반이 되었다. 앞으로도 이 역사는 후손들에게 영감을 주며 계속될 것이다.” 시기 사건과 활동 주요 인물과 단체 장소와 시설 한국과 세계사의 주요 사건 연도 월일 1883 7월 16일 조선의 왕 고종이 민영익을 단장으로…

  • 알아야 산다; 초기 미국의 한인 언론사

    알아야 산다; 초기 미국의 한인 언론사

    Read in English “오늘부터 새 활판에 새로 출간하는 새 신문을 보고 새 지식을 발달하며 새 사상을 활발하며 …… 우리 국권을 회복하고 자유의 복 누리기를 천만 축수하노라”-공립신보 광무9년 1905년 11월 발간- 초기 한인사회는 인구도 그리 많지 않고, 여러 가지 조건이 열악했음에도 언론, 출판의 활동이 두드러졌다. 별도의 언론사는 없었지만 여러 신문이나 잡지 발행에 단체나 기관에서 이를 재정적으로…

  • 샌프란시스코 독립운동사:일본이 무엇이 관데

    샌프란시스코 독립운동사:일본이 무엇이 관데

    Read in English 1906년 2월 15일 일제는 한국정부로 하여금 “해외한인은 어느 곳에 있든지 일본 영사의 보호를 받으라.”는 포고를 내리게 했다. 미주 한인들은 이러한 일제의 책략에 반발했다. 하와이 ‘애와친목회’와 샌프란시스코 공립협회 명의로 일본 영사의 보호를 거부한다는 공동 결의문을 채택했다. 한국을 지배하기 시작한 일본에 대한 미주 한인들의 분노는 항일, 배일 운동으로 이어졌다. 처음에는 산발적으로 지역별로, 단체별로 주도했던…

  • 도산 안창호(1878-1938)

    도산 안창호(1878-1938)

    Read in English 도산 안창호(1878-1938)는 1902년 미국에 공부를 하려고 왔다. 그러나 당시 미주한인들이 구심점 없이 방황하고 있는 모습에 이를 안타깝게 여긴 그는 한인사회 계몽운동에 나서게 된다. 구습과 패배주의적 발상에 매인 동포들의 변화와 개조를 강조하며 소망을 주려고 애쓴 사상가였고 생활 운동가였다. 도산은 재미 한인공동체 발전과 결속이 곧 나라를 찾을 수 있는 힘이라고 믿었다. 인재양성과 경제 부흥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