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g: 대동교육회

  • 장경(? ~1918):미주 최초의 단체 상항친목회를 조직

    장경(? ~1918):미주 최초의 단체 상항친목회를 조직

    Read in English 1903년 샌프란시스코에서 안창호, 이대위와 함께 미주 한인단체의 효시인 친목회를 조직하고 상부상조를 목적으로 한인사회의 생활개선운동을 펼쳤다. 1905년 일제가 한국과 을사조약을 강제로 체결하자 해외 유학생의 양성, 서적의 출간, 신문의 간행을 목적으로 캘리포니아주 패사디나에 대동교육회를 조직하고 총무로 선임됐다. 1907년 3월 샌프란시스코에서 백일규, 문양목과 함께 대동교육회를 대동보국회로 개편하고 중앙총무가 된 그 해 7월 일제에 의해 강제…

  • 김(차)미리사(1880-1955):미주 최초의 여성단체 한국 부인회 회장

    김(차)미리사(1880-1955):미주 최초의 여성단체 한국 부인회 회장

    Read in English 어릴 적 아버지로부터 철저한 가정교육을 받고 자랐다. 19살에 딸 하나를 두고 과부가 되었으나 교회에 다니며 기독교 신앙을 가져 어려운 과정을 극복한다. 중국으로 유학을 하여 4년간 신학을 공부했다. 미국 샌프란시스코에 유학 왔으나 미주한인과 함께 공부를 접고, 샌프란시스코에서 1905년에서 1910년까지 활발한 국권회복을 위한 조국 독립과 한인사회 계몽운동에 몸 바쳤다. 김미리사는 당대에 보기 드문 인테리…

  • 샌프란시스코 독립운동사

    샌프란시스코 독립운동사

    “샌프란시스코는 단순한 이민의 시작점이 아니라, 독립운동과 한국인 공동체의 성장의 중심이었다. 초기 한인들이 겪었던 고난과 희망, 그리고 독립을 위한 헌신은 오늘날 미주 한인 사회의 기반이 되었다. 앞으로도 이 역사는 후손들에게 영감을 주며 계속될 것이다.” 시기 사건과 활동 주요 인물과 단체 장소와 시설 한국과 세계사의 주요 사건 연도 월일 1883 7월 16일 조선의 왕 고종이 민영익을 단장으로…

  • 대한여자 애국단:여자라고 못하랴?

    대한여자 애국단:여자라고 못하랴?

    Read in English 초기 이민의 한인여성들은 자신들도 독립운동에 참여하기를 원했다. 그러다보니 서로 간에 조국사랑 정신을 고취시키며 여성 상호간의 친목을 목적으로 한 부인회의 필요성을 느끼게 됐다. 이에 뜻을 둔 대표 격 여성들이 모여 각 지방별로 부인회를 조직하고 그 지방 여성들은 모두 부인회에 가입했다. 초기의 한인여성들은 3.1 운동 이후 조국을 위해 한 푼도 돈을 내지 않은 점을…

  • 초기 이민 한인단체

    Read in English 외로웠던 초기 이민들은 모이기를 좋아했다. 하와이 이민은 농장단위로 ‘동회’를 만들고 회장인 ‘동장’을 두었다. 동장은 한인들의 대변자도 되면서 한인들 사이에 분쟁이 발생하면 이를 해결하며 규율을 어기는 사람을 처벌하는 역할을 했다. 그러나 이는 공동적인 대의명분을 가졌다기보다는 농장 일을 원할 하게 하고 억울한 피해를 줄이려는 일종의 직장 조직이었다. 이에 비해 1903년 8월 7일 생긴 ‘신민회’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