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g: 대한인국민회

  • 이대위(1878-1928):희생과 봉사의 삶을 살다

    이대위(1878-1928):희생과 봉사의 삶을 살다

    Read in English 평남 평양에서 출생하여 기독교 학교인 숭실중학교를 졸업하고 유학을 목적으로 1903년 미국으로 왔다. 1903년 샌프란시스코에서 안창호와 더불어 친목회를 조직하고 한인사회의 생활개선운동에 앞장섰다. 1905년에는 샌프란시스코에서 안창호와 미주 최초의 민족운동기관으로 항일운동과 동족사랑을 목적으로 설립한 공립협회를 조직하여 활동했다. 1906년 12월6일에는 상항한인감리교회를 창립하여 동포들의 구호사업과 교육 계몽운동, 직업알선 등의 일을 수행했다. 1908년에는 오레곤 주의 포틀랜드 아카데미를 졸업하고…

  • 송종익(1887-1956):독립운동 자금 조달

    송종익(1887-1956):독립운동 자금 조달

    Read in English ‘고국을 떠나온 지 40여년 만에 조국의 땅을 밟았으나, 당시 해방 정국의 혼란으로 인해 별다른 활동을 보이지 못하고 8개월 만에 미국으로 돌아갔다’ 출처: 국가보훈처 공훈록  재판정에서의 후원, 후원경비 조달, 변호사 교섭 등을 담당하면서 미 언론 등에 일본의 침략야욕과 한국의 독립 필연성을 인식시켰다. 1913년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린 흥사단 발기대회에서 8도 대표 중 한 명으로 동…

  • 백일규(1880-1962):한인 소년병 학교 설립

    백일규(1880-1962):한인 소년병 학교 설립

    Read in English 약산 백일규는 미국 유학을 목적으로 이민을 와 1905년 5월에 하와이로 들어와 이듬해 8월 샌프란시스코로 왔다. 1907년 3월 샌프란시스코에서 대동보국회 설립 시 발기인이었으며 1908년 3월 발생한 스티븐스 사건에 장인환, 전명운 두 의사 후원회 회장을 맡았었다. 1909년 7월에는 네브라스카에서 박용만과 함께 한인소년병학교를 설립하였다. 1918년 가주 대학에서 경제과를 마치고 문학사 학위를 받았다. 대동공보 주필이었던 그는…

  • 방사겸(1881-1955):독립운동과 사업, 그리고 평생의 기록을 남겼다.

    방사겸(1881-1955):독립운동과 사업, 그리고 평생의 기록을 남겼다.

    Read in English 방사겸(1881년 7월 25일~1955년 12월 8일)은 평양에서 태어나 1903년, 23세의 나이에 하와이로 이민을 떠났다. 사탕수수 농장에서의 고된 노동 속에서 그는 더 나은 미래를 꿈꾸었고, 결국 샌프란시스코로 이주하여 학업에 뜻을 두게 되었다. 그곳에서 안창호를 만나며 독립운동에 참여하게 되었고, 이후 평생을 독립운동과 사업에 헌신하며 기록을 남겼다. 독립운동의 길 1905년, 방사겸은 장경과 함께 대동교육회를 창립하고 한인들의…

  • 샌프란시스코 독립운동사

    샌프란시스코 독립운동사

    “샌프란시스코는 단순한 이민의 시작점이 아니라, 독립운동과 한국인 공동체의 성장의 중심이었다. 초기 한인들이 겪었던 고난과 희망, 그리고 독립을 위한 헌신은 오늘날 미주 한인 사회의 기반이 되었다. 앞으로도 이 역사는 후손들에게 영감을 주며 계속될 것이다.” 시기 사건과 활동 주요 인물과 단체 장소와 시설 한국과 세계사의 주요 사건 연도 월일 1883 7월 16일 조선의 왕 고종이 민영익을 단장으로…

  • 초기 이민사회의 교육열: 배워야 산다2

    초기 이민사회의 교육열: 배워야 산다2

    배워야 산다 1 초기 한인의 교육사업 초기 한인의 교육 사업은 미국물정을 모르고 온 성인들을 가르치는 일과 2세들에게 우리의 말과 글, 문화를 교육하는 일이었다. 하와이에 초기 이민 온 한인들은 글을 모르는 사람들이 대부분이었다. 이들은 저녁과 토요일에는 한국어학교에 가서 한글을 익혔다. 특히 초기 이민 1세들을 무지에서 깨우는 계몽운동이 필요했다. 이런 의미에서 초기 이민과 더불어 신문발행이 시작된 것은…

  • 초기 한인회:대한인국민회

    Read in English 대한인국민회(1910-1945) (The Korean National Association) 미주에서 단체 통합운동이 일어난 곳은 하와이로 1907년 9월2일 24개의 단체대표 30여명이 4개조의 합동결의안을 통과시켜 ‘한인합성협회’를 조직했다. 이어 미주 대륙에서는 공립협회 측의 안창호, 최정익, 이대위, 강영대, 안석중, 황사용, 이경의 등 6명과 하와이의 민찬호, 이내수, 강영소 등 7명이 미국 전체의 한인을 포함시키는 통합단체를 만들기 위해 실무적 노력을 기울이기 시작했다.…

  • 초기 이민 한인단체

    Read in English 외로웠던 초기 이민들은 모이기를 좋아했다. 하와이 이민은 농장단위로 ‘동회’를 만들고 회장인 ‘동장’을 두었다. 동장은 한인들의 대변자도 되면서 한인들 사이에 분쟁이 발생하면 이를 해결하며 규율을 어기는 사람을 처벌하는 역할을 했다. 그러나 이는 공동적인 대의명분을 가졌다기보다는 농장 일을 원할 하게 하고 억울한 피해를 줄이려는 일종의 직장 조직이었다. 이에 비해 1903년 8월 7일 생긴 ‘신민회’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