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g: 박용만

  • 정한경(1891-1985):한인친우회를 조직

    정한경(1891-1985):한인친우회를 조직

    Read in English 정한경은 어린 나이에 박용만의 삼촌이 되는 박장현이 고향에다 세운 대학교에 다니면서 신학문에 눈을 떴다. 1904년 14살의 나이로 새 학문을 배워보고 싶어 하와이로 왔다가 샌프란시스코로 유학을 왔다. 샌프란시스코에 처음 내려 한인교회에서 접시 닦기와 음식을 만드는 일을 1년간 하였다. 처음 도산이 정한경을 만났을 때 “정군은 보통사람이 아니니까 남의 밑에서 일하지 말고 미국신문에 논설을 쓸…

  • 우성 박용만(1881-1928)

    우성 박용만(1881-1928)

    Read in English 국민군단을 창설한 우성 박용만은 강원도 철원의 양반계급 출신이다. 일찍 아버지를 여의고 숙부에 의해 양육됐다. 일본에 건너가 중학교와 게이오 의숙에서 정치학을 공부하고 박영효 등 개혁파 인사들과 사귀어 정당에 가입했다. 그로 인해 관헌에 체포되었다가 몇 개월 만에 석방됐다. 독실한 기독교인이 된 박용만은 독립협회와 만민공동회에 참여해 중견간부가 됐다. 일본의 황무지 개척권에 반대하는 민족주의적 활동을 하며…

  • 미국으로 들어온 최초 사절단

    미국으로 들어온 최초 사절단

    Go to English Version 1863년 고종이 12세 어린 나이로 26대 조선의 임금이 되자, 그의 아버지 흥선대원군은 섭정을 통해 쇄국정치를 실시했다. 1866년 대원군은 가톨릭 교인이었던 홍봉주와 남종삼 등 프랑스 선교사 9명을 죽이고 8도에 영을 내려 많은 가톨릭 신자를 학살했다. 그해 8월 미국 상선 제너럴셔먼호가 강철, 유리제품 등을 싣고 대동강 상류로 올라와서 통상을 제의했으나 조선의 봉건정부는 이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