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g: 신한민보

  • 백일규(1880-1962):한인 소년병 학교 설립

    백일규(1880-1962):한인 소년병 학교 설립

    Read in English 약산 백일규는 미국 유학을 목적으로 이민을 와 1905년 5월에 하와이로 들어와 이듬해 8월 샌프란시스코로 왔다. 1907년 3월 샌프란시스코에서 대동보국회 설립 시 발기인이었으며 1908년 3월 발생한 스티븐스 사건에 장인환, 전명운 두 의사 후원회 회장을 맡았었다. 1909년 7월에는 네브라스카에서 박용만과 함께 한인소년병학교를 설립하였다. 1918년 가주 대학에서 경제과를 마치고 문학사 학위를 받았다. 대동공보 주필이었던 그는…

  • 방사겸(1881-1955):독립운동과 사업, 그리고 평생의 기록을 남겼다.

    방사겸(1881-1955):독립운동과 사업, 그리고 평생의 기록을 남겼다.

    Read in English 방사겸(1881년 7월 25일~1955년 12월 8일)은 평양에서 태어나 1903년, 23세의 나이에 하와이로 이민을 떠났다. 사탕수수 농장에서의 고된 노동 속에서 그는 더 나은 미래를 꿈꾸었고, 결국 샌프란시스코로 이주하여 학업에 뜻을 두게 되었다. 그곳에서 안창호를 만나며 독립운동에 참여하게 되었고, 이후 평생을 독립운동과 사업에 헌신하며 기록을 남겼다. 독립운동의 길 1905년, 방사겸은 장경과 함께 대동교육회를 창립하고 한인들의…

  • 알아야 산다; 초기 미국의 한인 언론사

    알아야 산다; 초기 미국의 한인 언론사

    Read in English “오늘부터 새 활판에 새로 출간하는 새 신문을 보고 새 지식을 발달하며 새 사상을 활발하며 …… 우리 국권을 회복하고 자유의 복 누리기를 천만 축수하노라”-공립신보 광무9년 1905년 11월 발간- 초기 한인사회는 인구도 그리 많지 않고, 여러 가지 조건이 열악했음에도 언론, 출판의 활동이 두드러졌다. 별도의 언론사는 없었지만 여러 신문이나 잡지 발행에 단체나 기관에서 이를 재정적으로…

  • 샌프란시스코 독립운동사:일본이 무엇이 관데

    샌프란시스코 독립운동사:일본이 무엇이 관데

    Read in English 1906년 2월 15일 일제는 한국정부로 하여금 “해외한인은 어느 곳에 있든지 일본 영사의 보호를 받으라.”는 포고를 내리게 했다. 미주 한인들은 이러한 일제의 책략에 반발했다. 하와이 ‘애와친목회’와 샌프란시스코 공립협회 명의로 일본 영사의 보호를 거부한다는 공동 결의문을 채택했다. 한국을 지배하기 시작한 일본에 대한 미주 한인들의 분노는 항일, 배일 운동으로 이어졌다. 처음에는 산발적으로 지역별로, 단체별로 주도했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