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g: 장인환

  • 문양목(1869-1940):동학혁명 참가 후 미국으로 망명한 독립운동가

    문양목(1869-1940):동학혁명 참가 후 미국으로 망명한 독립운동가

    Read in English 동학혁명 당시 농민군으로 가담 문양목(1869.6.7 ~ 1940.12.25)은 충청남도 서산 출신으로, 일찍이 반봉건·반외세의 의식을 가진 지식인이었다. 1894년 동학혁명이 발발하자 25세의 나이에 농민군에 가담하여 활발히 활동했다. 그러나 혁명이 실패하자 체포될 위기에 처했으며, 구사일생으로 탈출하여 망명길에 올랐다. 이후 1903년 인천에서 서당 교사로 활동하며 민족의식을 고취하던 그는, 점차 노골화되는 일본의 한국 침탈에 분노하며 국권 회복을 위한…

  • 샌프란시스코 독립운동사 – 세발의 총성에 대한 재판

    샌프란시스코 독립운동사 – 세발의 총성에 대한 재판

    Read in English이전 글: 세발의 총성이전 글: 세발의 총성 이후 전명운의 진술 입원중인 전명운은 자신을 만나러온 기자들에게 󰡒스티븐스는 한국에 대해 거짓말을 하러 온 사람이고 일본인들은 한국의 부와 나라를 도적질하고 있다󰡓고 서두에 밝히고 이어서 다음과 같이 자신의 입장을 설명했다. “나는 25세다. 학생으로서 미국에 유학하러 왔지만 돈이 없어 농장에서 일하고 있다. 내가 샌프란시스코에 돌아 온 것은 5일전이나…

  • 샌프란시스코 독립운동사-세발의 총성

    샌프란시스코 독립운동사-세발의 총성

    Read in English 1908년 3월 23일 샌프란시스코 페리항에서 장인환, 전명운 두 의사가 스티븐스를 처단한 사건은 한민족의 자유정신과 항일 의식을 만천하에 떨치는 계기가 됐다. 또 미주 한인사회에는 독립운동의 새로운 출발을 알리는 신호탄으로, 미주 한인들은 이 사건을 일본의 한국침략을 미 주류사회와 세계에 알리는 호기로 삼았다. 당시 산만하다 싶었던 미주에서의 독립운동은 이 사건이 자극이 되어 일대 전환기를 맞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