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g: 흥사단

  • 홍언(1880-1951):시조와 문장의 대가

    홍언(1880-1951):시조와 문장의 대가

    Read in English ‘동해수부’라는 필명을 가지고 있던 홍언은 서울에서 출생했다. 문예에 소질이 있던 선비로 공부를 목적으로 1905년 하와이로 이민 왔다. 1906년 하와이에서 ‘자강회 월보’와 1907년 하와이 24개 단체를 합쳐 한인합성협회를 조직하고 기관지 한인합성신보의 주필이 되었다. 또한 ‘신한국보’주필이 되어 동포들의 실력향상과 교육 장려를 위해 노력했다. 샌프란시스코에 와서는 대한인국민회 중앙총회 부회장으로 봉사했으며 1908년부터 4년 동안 신한민보 주필로…

  • 김성권(1875-1960):도산 정신을 이어간 문필가

    김성권(1875-1960):도산 정신을 이어간 문필가

    Read in English 1904년 29세의 나이로 하와이 사탕수수 농장으로 왔다. 천성적으로 노동이 맞지 않아 고생하자 이를 본 친구 강영소가 하와이 애와농장에 조그만 점포를 하나 내주었다. 농기구와 음식을 만들어 팔았는데 그러나 외상값을 회수하지 못하는 등 어려움을 겪었다. 그렇지만 1908년 샌프란시스코로 이주해 와서는 미국인 가게에 점원으로 일하면서 돈을 모아, 고향 경주에 가서 가족을 만나고 동생 둘을 불러…

  • 샌프란시스코 독립운동사

    샌프란시스코 독립운동사

    “샌프란시스코는 단순한 이민의 시작점이 아니라, 독립운동과 한국인 공동체의 성장의 중심이었다. 초기 한인들이 겪었던 고난과 희망, 그리고 독립을 위한 헌신은 오늘날 미주 한인 사회의 기반이 되었다. 앞으로도 이 역사는 후손들에게 영감을 주며 계속될 것이다.” 시기 사건과 활동 주요 인물과 단체 장소와 시설 한국과 세계의 주요 역사 연도 월일 1882 5월22일 한미조약 체결(1883년 비준) 1883 7월 16일…

  • 곽림대(1884-1971), 윌로우스 비행학교 감독

    곽림대(1884-1971), 윌로우스 비행학교 감독

    Read in English 1884년 경기도 한 지방에서 출생하였다. 1911년 수양동우회 105인 사건에 관련되어 5년간 옥고를 치르고 미국으로 망명했다. 안창호와 손잡고 재미동포를 규합하여 흥사단을 조직하는데 주력하였다. 1913년 11월에는 상항지방 국민회 신입회원이 되어 국민회 일을 도왔다1920년 1월 시카고에서 노백린을 만나 독립군 양성을 계획하고 그 해 2월 북가주 윌로우스에 비행학교를 창설했다. 곽림대는 비행학교 감독이었는데 노백린이 떠난 후에도 계속…

  • 샌프란시스코의 흥사단

    샌프란시스코의 흥사단

    Read in English 흥사단은 도산 안창호가 민족의 자주독립과 인물양성을 위해 ‘우리민족 전도대업의 기초’를 위해 1913년 5월 13일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창립한 단체다. 재미 한인의 인재양성기관인 흥사단의 이름은 원래 합방이전 본국에서 유길준이 조직한 애국단체 이름이다. 그러나 이미 없어진 단체지만 그 이름이 좋으니 다시 사용해도 좋겠다는 도산의 뜻에 따라 그대로 그 이름을 사용했다. 그 뜻은 ‘인민의 교육으로 전국의…

  • 도산의 사상과 가르침

    도산의 사상과 가르침

    Read in English 도산의 정신과 사상은 ‘진실 되자, 일하자, 사랑하자’로 표현된다. 사람은 첫째로 생각과 말과 행동에 있어 남의 본보기가 될 만한 진실 된 도덕적 품성을 가져야 한다고 그는 생각했다. 둘째로, 건전한 인격은 한 가지 이상의 전문지식과 생산 기능을 가진 생산적 직업인이어야 하며 셋째는, 튼튼한 신체를 가지도록 하고 우선 몸가짐과 거처로부터 개조하여 새롭게 되지 않고는 독립국민이…

  • 도산 안창호(1878-1938)

    도산 안창호(1878-1938)

    Read in English 도산 안창호(1878-1938)는 1902년 미국에 공부를 하려고 왔다. 그러나 당시 미주한인들이 구심점 없이 방황하고 있는 모습에 이를 안타깝게 여긴 그는 한인사회 계몽운동에 나서게 된다. 구습과 패배주의적 발상에 매인 동포들의 변화와 개조를 강조하며 소망을 주려고 애쓴 사상가였고 생활 운동가였다. 도산은 재미 한인공동체 발전과 결속이 곧 나라를 찾을 수 있는 힘이라고 믿었다. 인재양성과 경제 부흥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