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Read in English “도라가세 도라가세 재미동포 도라가세 /자유종을 크게치고 독립기를 높이들어/유진무퇴 하올적에 귀국하세 귀국하세” 신한민보에 나타난 한인인구 조사 및 이민 커미셔너 미 상원…
-
Read in English 꿈과 현실의 만남: 샌프란시스코의 역사와 골드러쉬 오늘날 찬란한 상징으로 빛나는 샌프란시스코는 한때 소박한 항구 마을에 불과했습니다. 하지만 1848년 캘리포니아에서 금이…
-
평양의 부유한 집에서 태어난 한장호는 일생을 한국의 독립을 위하여 싸우다가 샌프란시스코 근교 밀벨리에서 100세에 사망하였다. 19세에 일제의 압박에 못 이겨 할아버지가 챙겨주는 돈과…
-
평남에서 출생하여 유학을 목적으로 1916년 9월 미국에 왔다. 이듬해 1월 북미대한인국민회 총무로 임명돼 국민회 발전과 조국의 독립운동을 위하여 노력했다. 1919년 상해에 대한민국임시정부가 수립되자…
-
최봉윤 교수는 1914년 평북의주 출생으로 학생시절 성경학교와 수양회를 개최하여 한글을 가르치는 등 문맹퇴치와 민족정신 고취활동을 전개했다. 일본청산학원을 졸업하고 1938년 도미했다. UC Berkeley에서 정치학…
-
1889년 평남 강서에서 태어나 1916년 조국의 독립과 항일 투쟁을 목적으로 미국에 망명했다. 북가주 윌로우스지방의 대학에 재학한 그는 1920년 4월 그 지역 대표로 학생총회…
-
정한경은 어린 나이에 박용만의 삼촌이 되는 박장현이 고향에다 세운 대학교에 다니면서 신학문에 눈을 떴다. 1904년 14살의 나이로 새 학문을 배워보고 싶어 하와이로 왔다가…
-
별호는 해산(海山)으로 황해도 재령 출신인 그는 1902년 안창호와 함께 미국으로 건너가 1904년 공립협회를 창립하였다. 1905년 11월 기관지 공립신문을 창간하고 발행인이 됐다. 1907년 4월…
-
Read in English 1903년 샌프란시스코에서 안창호, 이대위와 함께 미주 한인단체의 효시인 친목회를 조직하고 상부상조를 목적으로 한인사회의 생활개선운동을 펼쳤다. 1905년 일제가 한국과 을사조약을 강제로…
-
Read in English 1886년 평양에서 태어나 별로 교육을 받지 못하였으나 평양에서 닥터 노블에게서 침례를 받고 서양문물에 눈을 떴다. 배움에 대한 열정으로 1905년 하와이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