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an Francisco 1920: Three Gunshots
Read in Korean 1 The History of Independence Movements in San Francisco On March 23, 1908, at the San Francisco Ferry Terminal, the incident where Jang In-hwan and Jeon Myung-woon assassinated Stevens became a pivotal moment, showcasing the Korean people’s spirit of freedom and anti-Japanese sentiment to the world. For the Korean community in America,…
-
San Francisoco 1920 – Jang In hwan (1876-1930)
—
Read in Koran Early Life and Career: Dr. Jang In-hwan was born on March 10, 1876, in Sunchon, Pyeonganbuk-do. He lost his mother at the age of six and his father at sixteen. After finishing elementary school, he worked as a shop assistant and later ran a store in Pyongyang in 1895, which unfortunately failed.…
-
샌프란시스코 독립운동사 – 장인환 의사
—
Read in English 장인환 의사(1876-1930): 1876년 3월 10일 평북 선천에서 출생한 의사는 어머니는 6살에 아버지는 16살 때 일찍이 양친을 여의었다. 소학교를 마친 뒤 상점점원으로 일하다 1895년에는 평양에서 상점을 경영하였는데 실패하였다. 국세가 기우는 것을 개탄하고 국가중신들이 일제에 아부하여 국사를 돌보지 않는 것을 보고 미주에 유학하여 국치를 씻겠다고 1904년 2월 28세에 하와이 코알라농장으로 노동이민을 하였다. 1906년 7월…
-
샌프란시스코 독립운동사 – 전명운 의사
—
전명운 의사(1884-1947) 전명운은 1884년 평양에서 태어났다. 한성학원(경기고 전신)에서 수학하던 그는 일제의 탄압이 날로 심해지자 비밀결사를 조직하고 독립운동을 하였다. 그러다 일본 헌병에 쫓기어 1905년 결혼한 지 3일 만에 간도와 연해주를 거쳐 미국으로 망명하였다. 하와이 농장에서 일하다 샌프란시스코로 이주하여 철로 공사장과 알라스카 어장에서 노동자로 다녀왔다. 미주 독립운동 단체인 공립협회 회원으로 청년회에서 활약하였다. 그러던 중 1908년 3월 스티븐스가…
-
샌프란시스코 독립운동사 – 세발의 총성에 대한 재판
—
Read in English이전 글: 세발의 총성이전 글: 세발의 총성 이후 전명운의 진술 입원중인 전명운은 자신을 만나러온 기자들에게 스티븐스는 한국에 대해 거짓말을 하러 온 사람이고 일본인들은 한국의 부와 나라를 도적질하고 있다고 서두에 밝히고 이어서 다음과 같이 자신의 입장을 설명했다. “나는 25세다. 학생으로서 미국에 유학하러 왔지만 돈이 없어 농장에서 일하고 있다. 내가 샌프란시스코에 돌아 온 것은 5일전이나…
-
샌프란시스코 독립운동사-세발의 총성 이후
—
Read in English 세발의 총성 이야기 읽기 당시 현장에 있던 이들은 대부분 백인이었다. 이들은 장인환과 전명운에 대해 “두 놈을 죽여 버려라”, “목을 매 죽이자”, “저 동양인 악마를 처형하라”고 아우성들이었다. 그 때 한인 대표 이학현은 “샌프란시스코에 사는 우리는 야만적인 일제로부터 피해온 사람들이며 이 일은 미국이 대영제국과 벌린 독립전쟁과 같은 것”이라고 소리쳤다. 그러자 현장을 목격한 한 미국부인은…
-
샌프란시스코 독립운동사-세발의 총성
—
Read in English 1908년 3월 23일 샌프란시스코 페리항에서 장인환, 전명운 두 의사가 스티븐스를 처단한 사건은 한민족의 자유정신과 항일 의식을 만천하에 떨치는 계기가 됐다. 또 미주 한인사회에는 독립운동의 새로운 출발을 알리는 신호탄으로, 미주 한인들은 이 사건을 일본의 한국침략을 미 주류사회와 세계에 알리는 호기로 삼았다. 당시 산만하다 싶었던 미주에서의 독립운동은 이 사건이 자극이 되어 일대 전환기를 맞았다.…
-
샌프란시스코 독립운동사:미주 한인의 독립운동 그리고 군사학교
—
Read in English 나라가 살아야 우리가 산다미주의 한인사회는 자치적으로 조국의 독립운동을 목표로 1909년 2월 강력한 조직체 대한인국민회를 조직하고 독립운동을 추진해 나갔다. 러일전쟁 기간 중 ‘주한조선군’이라 칭하던 일본군은 본국에 들어와 재정궁핍을 구실로 한국군대를 해산했다. 1904년 1차로 한국 군인을 반감시킬 때 해산된 군인 중 3백 명 가량은 하와이로 와서 한인사회의 중요한 구성원이 되었다. 약 2백 명은 샌프란시스코와…
-
샌프란시스코 독립운동사:윌로우스의 독립비행단
—
Read in English 레드우드시의 항공학교는 샌프란시스코에서 20마일쯤 남쪽에 위치한 레드우드 시에 있던 항공학교다. 1916년 크리스토 펄슨이 시작한 비행학교로 그는 학교를 시작한 지 4달 만에 28살의 나이로 비행기 사고로 사망했다. 이 학교엔 미국인 및 외국태생의 학생이 28명 재학하고 있었다. 설립자 사망으로 생긴 갑작스런 공백은 1917년 11월 당시 교관이었던 해피 브라이언트가 학교를 인수하면서 해결되었다. 학교 소유자가 된…
-
샌프란시스코 독립운동사:3월1일
비폭력 무저항의 평화적 시위, 3.1 운동 일제는 독립의 기대에 어긋나는 서명운동을 벌렸다. 고종은 이때 용감하게 일제의 서명운동을 거부해 국민의 존경과 애정을 받게 됐다. 그러나 얼마 안 있어 1919년 1월 20일 숨을 거두었다. 뇌일혈이라 일제는 사인을 밝혔지만 혈압이 정상이었던 터라 두 가지 소문이 전국을 휩쓸었다. 하나는 그가 독살되었다는 것이고 하나는 총애하던 아들 영친왕이 일본여자 마사꼬와의 결혼식이…
-
San Francisco 1920: The Unfulfilled Mission of Korean Airmen
—
Read in Korean In 1905, Japan forcibly signed the Eulsa Treaty, and in 1910, it forcibly annexed Korea. As a darker shadow loomed over their homeland, thousands of Koreans who had already emigrated to the Americas naturally ignited a movement to save their country. The enlightenment and leadership of patriotic leaders played a significant role,…
-
샌프란시스코 독립운동사:일본 본토에 대한 공습을 계획하다
—
Read in English 1905년 강제로 을사보호조약을 맺은 일본은 1910년에는 강제로 한일 합방을 체결했다. 조국에 더욱 암울한 그림자가 짙어지자, 이미 수천 명의 한인들이 이주해온 미주에서는 자연스럽게 구국운동이 불붙게 된다. 애국지도자들의 계몽 선도적 역할이 컸지만, 고국을 떠나와 고생스런 삶을 살고 있는 이민들에게 ‘기운 조국을 우리 힘으로 바로 세우자’는 대의적 제안은 두말할 필요도 없이 가장 중대한 목표의 하나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