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초기 이민사회의 교육열: 배워야 산다2

    초기 이민사회의 교육열: 배워야 산다2

    배워야 산다 1 초기 한인의 교육사업 초기 한인의 교육 사업은 미국물정을 모르고 온 성인들을 가르치는 일과 2세들에게 우리의 말과 글, 문화를 교육하는 일이었다. 하와이에 초기 이민 온 한인들은 글을 모르는 사람들이 대부분이었다. 이들은 저녁과 토요일에는 한국어학교에 가서 한글을 익혔다. 특히 초기 이민 1세들을 무지에서 깨우는 계몽운동이 필요했다. 이런 의미에서 초기 이민과 더불어 신문발행이 시작된 것은…

  • 초기 유학생과 학생단체: 배워야 산다 1

    초기 유학생과 학생단체: 배워야 산다 1

    배워야 산다 2 1882년 한미조약이 체결된 후 한국정부의 친선대사 민영익 일행은 1883년 9월 2일 사절단으로 샌프란시스코에 상륙하여 한국인으로는 처음으로 미국 땅에 발을 디딘 사람들이 됐다. 민영익 일행은 영어를 아는 사람이 없어 일본인 통역사를 두고 일행 중 유길준이 우리말을 일본말로 하면 일본인이 영어로 통역했다. 미국인 통역을 하던 사람은 하버드 대학을 나온 로웰이라는 사람이었는데 유길준을 자기와 친교가…

  • The Early Korean Immigrant Society in America as Seen Through Newspaper Articles: This Is How They Lived

    The Early Korean Immigrant Society in America as Seen Through Newspaper Articles: This Is How They Lived

    Read in Korean Korean Population Census and Immigration Data from the Shinhan Minbo and U.S. Senate Submissions by Immigration CommissionersEarly 1900s: 165 men and 3 women, totaling 168 individuals.1903 to 1924: 6,725 men and 675 women, totaling 7,400 immigrants.1905: Labor immigration was banned due to Japanese interference.1906 to 1910: 182 men and 40 women, totaling…

  • 당시 신문으로 본 미국 초기 이민사회: 그들은 이렇게 살았다.

    당시 신문으로 본 미국 초기 이민사회: 그들은 이렇게 살았다.

    Read in English “도라가세 도라가세 재미동포 도라가세 /자유종을 크게치고 독립기를 높이들어/유진무퇴 하올적에 귀국하세 귀국하세” 신한민보에 나타난 한인인구 조사 및 이민 커미셔너 미 상원 제출 자료 ◈ 1900년 초: 남자 165명, 여자 3명 등 168명. ◈ 1903년부터 1924년: 남자 6천725명, 여자 675명 총 7천400명. ◈ 1905년에는 일본의 방해로 노동이민 금지됨. ◈ 1906년부터 1910년: 남자 182명. 여자…

  • Heungsadan in San Francisco

    Heungsadan in San Francisco

    Read in Korean Heungsadan is an organization founded by Dosan Ahn Chang-ho in San Francisco, USA, on May 13, 1913, with the aim of achieving national independence and nurturing capable individuals. The name “Heungsadan” was originally used by a patriotic organization founded by Yu Gil-jun in Korea before the annexation. Although the original organization no…

  • 샌프란시스코의 흥사단

    샌프란시스코의 흥사단

    Read in English 흥사단은 도산 안창호가 민족의 자주독립과 인물양성을 위해 ‘우리민족 전도대업의 기초’를 위해 1913년 5월 13일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창립한 단체다. 재미 한인의 인재양성기관인 흥사단의 이름은 원래 합방이전 본국에서 유길준이 조직한 애국단체 이름이다. 그러나 이미 없어진 단체지만 그 이름이 좋으니 다시 사용해도 좋겠다는 도산의 뜻에 따라 그대로 그 이름을 사용했다. 그 뜻은 ‘인민의 교육으로 전국의…

  • The Early Korean Immigrant Association: The Korean National Association

    Read in Korean The Korean National Association (1910-1945) The movement for the integration of organizations in the Korean American community began in Hawaii. On September 2, 1907, representatives from 24 organizations, totaling about 30 people, passed a four-point joint resolution and formed the “Korean Consolidated Association.” Subsequently, on the mainland, leaders such as Ahn Chang-ho,…

  • San Francisco 1920: The Willows Aviation Corps

    San Francisco 1920: The Willows Aviation Corps

    Read in Korean History of the Independence Movement in San Francisco: The Redwood City Aviation School was an aviation school located about 20 miles south of San Francisco in Redwood City. It was started in 1916 by Kristo Persson, who died in a plane crash just four months after opening the school at the age…

  • 샌프란시스코 독립운동사 – 세발의 총성에 대한 재판

    샌프란시스코 독립운동사 – 세발의 총성에 대한 재판

    Read in English이전 글: 세발의 총성이전 글: 세발의 총성 이후 전명운의 진술 입원중인 전명운은 자신을 만나러온 기자들에게 󰡒스티븐스는 한국에 대해 거짓말을 하러 온 사람이고 일본인들은 한국의 부와 나라를 도적질하고 있다󰡓고 서두에 밝히고 이어서 다음과 같이 자신의 입장을 설명했다. “나는 25세다. 학생으로서 미국에 유학하러 왔지만 돈이 없어 농장에서 일하고 있다. 내가 샌프란시스코에 돌아 온 것은 5일전이나…

  • 샌프란시스코 독립운동사-세발의 총성

    샌프란시스코 독립운동사-세발의 총성

    Read in English 1908년 3월 23일 샌프란시스코 페리항에서 장인환, 전명운 두 의사가 스티븐스를 처단한 사건은 한민족의 자유정신과 항일 의식을 만천하에 떨치는 계기가 됐다. 또 미주 한인사회에는 독립운동의 새로운 출발을 알리는 신호탄으로, 미주 한인들은 이 사건을 일본의 한국침략을 미 주류사회와 세계에 알리는 호기로 삼았다. 당시 산만하다 싶었던 미주에서의 독립운동은 이 사건이 자극이 되어 일대 전환기를 맞았다.…

  • 샌프란시스코 독립운동사:윌로우스의 독립비행단

    샌프란시스코 독립운동사:윌로우스의 독립비행단

    Read in English 레드우드시의 항공학교는 샌프란시스코에서 20마일쯤 남쪽에 위치한 레드우드 시에 있던 항공학교다. 1916년 크리스토 펄슨이 시작한 비행학교로 그는 학교를 시작한 지 4달 만에 28살의 나이로 비행기 사고로 사망했다. 이 학교엔 미국인 및 외국태생의 학생이 28명 재학하고 있었다. 설립자 사망으로 생긴 갑작스런 공백은 1917년 11월 당시 교관이었던 해피 브라이언트가 학교를 인수하면서 해결되었다. 학교 소유자가 된…

  • San Francisco 1920: The Unfulfilled Mission of Korean Airmen

    San Francisco 1920: The Unfulfilled Mission of Korean Airmen

    Read in Korean In 1905, Japan forcibly signed the Eulsa Treaty, and in 1910, it forcibly annexed Korea. As a darker shadow loomed over their homeland, thousands of Koreans who had already emigrated to the Americas naturally ignited a movement to save their country. The enlightenment and leadership of patriotic leaders played a significant role,…